여러분은 저자도라고 들어보셨나요? <br /> <br />서울 한강에 있는 섬인데, 물속에 잠겼다가 최근 50여 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화면으로 보실까요? <br /> <br />뉴있저 제작진이 오늘 동호대교 북단에서 촬영한 모습인데요. <br /> <br />부채꼴 모양의 제법 넓은 습지가 한눈에 들어옵니다. <br /> <br />겨울 철새들이 가장자리 뭍에 올라와 여유를 부리는 모습도 관찰되는데요. <br /> <br />저자도는 서울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 모래가 쌓이면서 생긴 삼각주입니다. <br /> <br />옥수동 인근에 있어 '옥수동 섬'이라고도 불렸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흰 모래와 갈대숲 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조선시대 왕실이나 귀족들이 피서를 즐기던 섬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의도 면적의 40%에 이르는 큰 섬이었지만, 1972년 자취를 감췄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압구정동을 매립하는데 모래를 퍼다 쓰면서 사라진 건데요. <br /> <br />이곳에 흙이 쌓이면서 저자도가 조금씩 복원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돌아온 저자도는 일정 기간 물에 잠기거나 젖는 습지가 됐는데요. <br /> <br />이곳에선 새 발자국들은 물론, 천연기념물 큰고니가 발견돼, 살아나는 생태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동언 / 서울환경연합 정책국장 : 단순히 치수나 이수 목적의 측면뿐만 아니라, 생태적인 가치, 그리고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가치 그리고 홍수 조절능력까지 다각도로 가지고 있어서 생물 다양성 가치 또한 풍부하고요.] <br /> <br />오늘은 '세계 습지의 날'입니다. <br /> <br />습지는 지상의 탄소를 약 40% 이상 저장해 기후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데다, 모든 생물의 40%가 살고 있어 우리에게 각종 식량까지 제공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도심 속 습지인 저자도. <br /> <br />사람과 공존하는 자연 습지가 될 수 있을까요?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보리 (ybr07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20220035705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